목록개념 (8)
코린이의 기술 블로그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표현의 상태 변화 리소스를 자원(db나 vo의 값)으로 보고 주고 받는다는 개념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예 : 문서, 그림,데이터등) 자원의 표현 :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자원의 표현으로 정의 -상태(정보) 전달 :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 전달 소프트웨어 개발의 아키텍처 스타일(설계자) 한 형식 ->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를 통해 자원 명시, HTTP Method (POST, GET, PUT, DELETE) 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 을 적용 -자원..
1. 입력값 검증 -스프링MVC는 Bean Validation 기능을 이용해 요청 파라미터 값이 입력값 검증 (1) 환경설정 -의존 관계설정 (2) 입력값 검증 활성화 -@Validated 애너테이션을 지정하여 입력 검증 활성화 2.입력값 검증 결과 (1) 에러 정보 확인을 위한 BindingResult (2) 입력값 검증 결과 확인 -입력값 검증 대상인 도메인 클래스의 해당 컨트롤러 클래스에 BindingResult 정의 3. 입력값 검증 규칙 - Bean Validation 표준 제약 애너테이션 - 서드파티에서 구현 제약 애너테이션 - 직접 구현한 제약 애너테이션 (1)입력 값 검증 규칙 -@NotNull : 빈값 -@NotBlank : 틀리면 앞뒤의 여백을 없애주는 -@Size : 글자수나 컬렉션의..
7. 여러개 라디오 버튼 - 스프링 폼 태그인 여러개의 사용 (1) 입력 화면 구성 -모델에 map 타입의 데이터 생성, 추가 화면 전달 -List 타입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추가한 후 화면 전달 8. 라디오 버튼 - 스프링 폼 태그인 체크박스의 사용 (1) 입력 화면 구성 -모델에 기본 생성자로 생성한 폼 객체를 추가한 후 화면 전달 -객체를 생성하여 값을 설정한 후 전달 9. 셀렉트 박스 요소 - 스프링 폼 태그인 여러개의 사용 (1) 입력 화면 구성 -모델에 map 타입의 데이터 생성, 추가 화면 전달 -List 타입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추가한 후 화면 전달 -CodeLabelValue 타입의 요소를 가지는 List 타입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추가 후 화면 전달 10. 숨겨진 필드 요소 - 스프링 폼 ..
데이터 전달자 모델 1. 모델 객체 -Model 객체는 View에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하는 역할 (1) 데이터 전달 -Model 객체의 addAttribute() 메서드를 호출하여 데이터 전달 2.모델을 통한 데이터 전달 -Model 객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뷰에 전달 (1) 데이터 전달 -매개변수에 선언된 Model 객체의 addAttribute() 메서드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뷰에 전달 -Model 객체 자바빈즈 클래스 객체를 값으로만 전달 할때는 뷰에서 참조 이름을 클래스 명 첫 글자를 소문자로 변환 후 사용 -Model 객체를 통해 배열과 컬렉션 객체 전달 - 배열을 사용 -Model 객체를 통해 중첩된 자바빈즈 클래스 객체 전달 - 클래스 안에 클래스가 들어갈때 사용(has..
BFS, DFS 는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그래프란, 정점(node)과 그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어진 관계로 보면 됩니다:) 그래프를 탐색한다는 것은 하나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모든 정점들을 한 번씩 반복한다는 개념입니다. 일종의 가지치기의 개념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DFS(깊이우선탐색) 현재 정점에서 점들까지 이어가면서 탐색 스택 또는 재귀함수를 사용 BFS(너비우선탐색) 현재 정점에서 연결 된 가까운 점에서 탐색 큐를 이용해서 사용 경로의 특징을 저장해둬야 하는 문제 각각의 경로마다 특징을 저장해둬야 할 때는 DFS를 사용합니다. 최단거리 구해야 하는 문제, 미로 찾기 등 최단거리를 구해야 할 경우, BFS가 유리합니다. 왜냐면 경로를 읽지 못하므로 더 유리합니다. ..
부트 스프링의 컨트롤러 요청처리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스프링 MVC는 요청 데이터를 가져올수 있는 다양한 방법 제공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 : 자바 소스 컴파일 할 때 -g 옵션인 디버깅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를 사용해야 매개변수명을 인식할 수 있다. (1) url경로 상의 정보로부터 요청데이터 취득 (2) url경로 상의 경로 변수로부터 요청데이터 취득 (3) HTML 폼 필드명과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이 일치하면 요청데이터 취득 (4) HTML 폼 필드명가 여러개일 경우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이 일치하면 요청데이터 취득 (5) HTML 폼 필드가 여러개일 경우 컨트롤러 매개변수의 위치는 상관 없다 (6) 컨트롤러 매개변수가 문자열이면 문자열로 데이터 취득 (7) 컨트롤러 매개변수가 숫자형이면 숫자로 데..
컨트롤러 요청 처리 컨트롤러 메서드 매개변수 Model -이동 대상에 전달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RedirectAttributes -리다이렉트 대상에 전달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자바빈즈 클래스 -요청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 자바빈즈 클래스 MultipartFile -멀티파트 요청을 사용해 업로드된 파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BidingResult -도메인 클래스의 입력값 검증 결과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java.util.Locale -클라이언트 로컬 java.security.Principal -클라이언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이런 종류로 있습니다
hash ?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른 검색 속도를 갖는다. hash table ? key- value에서 key 를 테이블에 저장할 때 key값을 Hash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 한 후 그 결과 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 =>key값을 계산하는것이 Hash Method라고 합니다. hashing ? Map과 같이 Hashing을 구현하는 클래스에서는 Object 클래스에 정의된 hashcode()를 hashMethod로 사용 HashMap은 Key, Value 2개의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타입을 선언하려면 두 개의 타입을 선언해야합니다 HashMap 변수명 = new HashMap(); 예를 들면 HashMap 변수명 = new HashMap(); 이런 식으로 쓰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