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초보 (53)
코린이의 기술 블로그
저는 들어가서 팀을 배정 받았을때 인터페이스 팀이라고 들어서 기본적인 API 와 CRUD나 쓰는 매핑명과 코딩 이해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처음 회사를 들어가서 배운 것은 API 입니다. 1) API 는 애플리케이션이 인터페이스 응답과 요청을 주고 받는 체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WEB, MOBILE, SERVER가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를 응답과 요청 과정을 지나 DB에서 서로 주고 받는 것이 됩니다. 응답과 요청을 받는 방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구현 방법에는 REST API 가 있습니다. 트렌디한 방식이며, REST API 는REST 아키텍처의 제약 조건을 준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뜻합니다. Rest API의 개념 및 서버,..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 - JPA에서 사용하는 객체지향 쿼리 언어 -디비 SQL 쿼리언어와 유사하지만 테이블과 컬럼 이름 대신 매핑한 엔티티 이름과 속성 이름 사용 (1) 객체지향 쿼리 -디비 테이블 대상이 아닌 엔티티 객체 대상으로 여러 검색 조건을 사용하여 엔티티 객체 조회 쿼리 ① JPQL : 엔티티 객체 조회하는 객체지향 쿼리 ② Criteria : JPQL 을 편리하데 작성을 도와주는 빌더 클래스 제공 ③ Querydsl : 비표준 오픈 소스 프레임 워크 ④ 네이티브 SQL : JPA 에서 SQL 을 직접 사용 (2)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①기본 구조 -SELECT 별칭 FROM 엔티티 이름 AS ..
hash ?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른 검색 속도를 갖는다. hash table ? key- value에서 key 를 테이블에 저장할 때 key값을 Hash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 한 후 그 결과 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 =>key값을 계산하는것이 Hash Method라고 합니다. hashing ? Map과 같이 Hashing을 구현하는 클래스에서는 Object 클래스에 정의된 hashcode()를 hashMethod로 사용 HashMap은 Key, Value 2개의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타입을 선언하려면 두 개의 타입을 선언해야합니다 HashMap 변수명 = new HashMap(); 예를 들면 HashMap 변수명 = new HashMap(); 이런 식으로 쓰면 ..
1. 기본 설정 모드-pom.xml 설정 org.mybatis mybatis 3.5.2 org.mybatis mybatis-spring 2.0.2 여기에는 DataBase를 설정하는 글을 적어서 올린다 org.springframework spring-jdbc ${org.springframework-version} commons-dbcp commons-dbcp 1.4 하나라도 안뜨거나 오타면 빨간 색으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Create : 테이블, 인덱스, 뷰등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생성 Alter : 이미 생성된 객체 수정 Truncate : 테이블 데이터 모두 삭제 Drop : 생성된 데이터 객체 영구 삭제
트랜잭션음 밀접히 관련되어 분리될 수 없는 1개 이상 의 데이터 베이스를 뜻합니다. 조작 논리적 연산단위 COMMIT : 올바르게 반영된 데이터를 DB에 반영하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ROLLBACK : 트랜잭션 시작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 입니다. 단,COMMIT이 되면 되돌리지는 못합니다. SAVEPOINT : 저장 지점을 뜻하는 명령어입니다. 트랜잭션의 특성 1. 원자성 : 트랜잭션에서 정의된 연산들은 모두 성공 적으로 실행되던지 아니면 전혀 실행되지 않아야 합니다. 2. 일관성 : DB 트랜잭션 실행 전 내용이 잘못 되지 않으면 실행 후에도 잘못 되어지지 않아야합니다. 3. 고립성 : 트랜잭션 실행 도중 다른 트랜잭션의 영 향을 받아 잘못된 결과를 만들어 져서는 안됩니다. 4. 지속성 :..
내부 Join은 두테이블의 키값이 매칭 되는 경우 선택되는 모든 열을 뜻합니다. 1. FROM/ WHERE 사용 Ex) select 테이블명1.열이름1, 테이블명2.열이름2 from 테이블명1, 테이블명2 where 테이블명1.키=테이블명2.키 2. 별칭사용 테이블명 별칭해서 from절에 나타내면 됩니다. 3. INNER JOIN : 이너 조인을 사용하여 두테이블을 합칠 수 있습니다. 같이 사용하는 on 뒤에 두 테이블의 연결고리인 키값을 적으면 됩니다. Full outer join : 조인 수행시 모두 다 읽어 JOIN 하여 결과 생성 Left outer join : 조인 수행시 왼쪽의 데이터를 읽어 JOIN 하여 결과 생성 Right outer join : 조인 수행시 오른쪽의 데이터를 읽어 JO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