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9)
코린이의 기술 블로그

데이터 베이스란?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해 논리적으루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것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DataBase system)은 각 조직에서 사용하던 데이터를 모아서 통합하며 서로 공유하는 것 입니다:) 1)DBMS : 데이터 베이스 연결 및 관리 시스템 2)데이터 베이스 :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 3)데이터 모델 : 데이터 저장 기법 이런 식으로 나타 내어질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베이스 언어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적 질의 언어로 1)데이터 정의 : 데이터 구조 정의, 삭제 및 변경 가능 2)데이터 조직 : 검색, 삽입, 수정, 삭제 지원 3)데이터 추출 : 조회(검색) 데이터이거나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추출 4)데이터 제어..
으어어ㅜㅜㅜㅜㅜ 진짜 코딩량 많아져서 멘붕이다ㅜㅠㅜㅜㅜㅜ이거 프로젝트 어케해ㅜㅜㅠㅠㅠ 나는 그냥 친다->안나온다->도와줘요ㅠㅠ->답이없다->그냥 친다의 무한 루프ㅜㅠ 프로젝트때 민폐되면 안되는데ㅜㅠ 뭔가 내가 못 할것 같아서 진짜 멘붕에 대가리 터질것 같고 팀원 되는 애들한테 미안하고… sql 이제 좀 알겠는데 이클립스 연동해서 칠려니,ㅎㅎㅎㅎㅎ…. 이해하면서 치면 하루 순삭 ㅇㅅ

순서도는 논리적 흐름을 약속된 기호나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봅니다. 중고딩일때 알고리즘으로 순서도에 관해 배울겁니다 이런식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문제를 풀어보는 과정이 java를 좀더 가깝게 다가가는듯 할겁니다ㅜㅜ 이런식으로 순서도가 대략 나타나질건데 단말 : 순서도의 시작과 끝 처리 : 동작 입출력 판단 : y/n로 나눌 수 있는 질문 흐름선 : 화살표 이런 식으로 나타내어 집니다:) 순서도로 경우의 수를 판단하여 나타나지게 됩니다 선언을 초기화시키는 6각형의 모양입니다 이런 식으로 결과물을 보여주는것으로 보면 됩니다:) 입력 : 외부로부터 들어오는것 출력 : 외부로부터 나가는것 으로 생각하시면 위에 그림의 입출력으로 연결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순서도와 순차논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한 UPDATE 문 UPDATE table_name(테이블명) SET column1=value1,column=value2,... WHERE conditions(조건문); 여기서의 WHERE 조건문은 매우 중요! WHERE절을 사용하지 않으면 모든 행이 수정이 되버리는 상황이 온다 돌이킬 수 없으니 빼먹지 말자ㅜㅜ)9 따라서 어떤 행의 데이터를 수정하는지 WHERE절을 이용하여 조건을 지정해야한다. 이때 =은 할당한다는 개념이라고 보면된다. UPDATE EMP SET HIRE_DATE = SYSDATE; 지정하는 지금날짜로 변경 SYSDATE : 명령어를 내리는 시간(시,분,초) 테이블에서 2개이상 칼럼값 변경 set절에 콤마 추가, 칼럼=값을 추가 기술 칼럼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순서도 한번 그렸더니 팔이 너무 아프다ㅜㅜ 기본 원리라고 해서 그리는데 중학교로 돌아간것 같아서 뭔가 기분이 애매하며 즐거웠다😮 근데 이걸로 컴퓨터 자바깔고 할 수 있는 거냐고ㅜㅜ 지금 매우 백지 상태인데ㅜㅜ 그리는건 좋은데 왠지 망할 것같은 이 기분

DML이란 테이블 내용을 추가, 수정, 삭제를 위한 것 입니다 데이터를 조작하여 추가, 수정 , 삭제를 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블 구조를 먼저 파악하고 하면 좋습니다:) INSERT문일 경우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는 것 INSERT INTO 테이블 명(칼럼명,...) VALUES(칼럼에 넣을 값,...) ; 하나의 행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한 행당 하나의 INSERT가 필요! 타입과 순서를 정확하게 넣어야 하며, 문자와 날짜(DATE)는 ('')단일 따옴표에 넣어야 합니다. 위에 있는 INSERT문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첫 줄에 VALUES의 값이 삽입됩니다. 구문에서의 오류는 괄호 안의 기술한 값의 개수가 적거나 많으면 구문 오류가 나며 에러가 뜹니다. 기존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다른 테이블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