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 Web (38)
코린이의 기술 블로그
데이터 전달자 모델 1. 모델 객체 -Model 객체는 View에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하는 역할 (1) 데이터 전달 -Model 객체의 addAttribute() 메서드를 호출하여 데이터 전달 2.모델을 통한 데이터 전달 -Model 객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뷰에 전달 (1) 데이터 전달 -매개변수에 선언된 Model 객체의 addAttribute() 메서드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뷰에 전달 -Model 객체 자바빈즈 클래스 객체를 값으로만 전달 할때는 뷰에서 참조 이름을 클래스 명 첫 글자를 소문자로 변환 후 사용 -Model 객체를 통해 배열과 컬렉션 객체 전달 - 배열을 사용 -Model 객체를 통해 중첩된 자바빈즈 클래스 객체 전달 - 클래스 안에 클래스가 들어갈때 사용(has..
BFS, DFS 는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그래프란, 정점(node)과 그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어진 관계로 보면 됩니다:) 그래프를 탐색한다는 것은 하나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모든 정점들을 한 번씩 반복한다는 개념입니다. 일종의 가지치기의 개념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DFS(깊이우선탐색) 현재 정점에서 점들까지 이어가면서 탐색 스택 또는 재귀함수를 사용 BFS(너비우선탐색) 현재 정점에서 연결 된 가까운 점에서 탐색 큐를 이용해서 사용 경로의 특징을 저장해둬야 하는 문제 각각의 경로마다 특징을 저장해둬야 할 때는 DFS를 사용합니다. 최단거리 구해야 하는 문제, 미로 찾기 등 최단거리를 구해야 할 경우, BFS가 유리합니다. 왜냐면 경로를 읽지 못하므로 더 유리합니다. ..
부트 스프링의 컨트롤러 요청처리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스프링 MVC는 요청 데이터를 가져올수 있는 다양한 방법 제공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 : 자바 소스 컴파일 할 때 -g 옵션인 디버깅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를 사용해야 매개변수명을 인식할 수 있다. (1) url경로 상의 정보로부터 요청데이터 취득 (2) url경로 상의 경로 변수로부터 요청데이터 취득 (3) HTML 폼 필드명과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이 일치하면 요청데이터 취득 (4) HTML 폼 필드명가 여러개일 경우 컨트롤러 매개변수 명이 일치하면 요청데이터 취득 (5) HTML 폼 필드가 여러개일 경우 컨트롤러 매개변수의 위치는 상관 없다 (6) 컨트롤러 매개변수가 문자열이면 문자열로 데이터 취득 (7) 컨트롤러 매개변수가 숫자형이면 숫자로 데..
컨트롤러 요청 처리 컨트롤러 메서드 매개변수 Model -이동 대상에 전달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RedirectAttributes -리다이렉트 대상에 전달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자바빈즈 클래스 -요청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 자바빈즈 클래스 MultipartFile -멀티파트 요청을 사용해 업로드된 파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BidingResult -도메인 클래스의 입력값 검증 결과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java.util.Locale -클라이언트 로컬 java.security.Principal -클라이언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이런 종류로 있습니다
Failed to convert value of type 'java.lang.String' to required type 'int'; 즉 'java.lang.String' 유형의 값을 필수 유형 'int'로 변환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오류가 콘솔창에 뜨게 됩니다. 그때는 String resultStr;로 String에서 문자열 지정을 하지 않은게 원인입니다. String resultStr=""; 이런 식으로 초기화 설정을 먼저 하고 사용하면 오류가 나지 않습니다.
1. 기본 설정 모드-pom.xml 설정 org.mybatis mybatis 3.5.2 org.mybatis mybatis-spring 2.0.2 여기에는 DataBase를 설정하는 글을 적어서 올린다 org.springframework spring-jdbc ${org.springframework-version} commons-dbcp commons-dbcp 1.4 하나라도 안뜨거나 오타면 빨간 색으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기존 MVC 패턴은 스프링에 적용하고자 설계된 스프링 웹 MVC 모듈 스프링 웹 MVC 모듈은 모든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하나의 서블릿이 받아서 처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구현,프론트 컨트롤러라고 부르는 디스패쳐 서블릿이 핸들러를 호출하여 동작 클라이언트에서 url로 웹서버에 요청 핸들러 매핑 검색 디스패쳐 서블릿이 요청한 적절한 컨트롤러를 검색 후 처리 요청 요청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 처리, 출력할 뷰명과 처리 결과를 디스패쳐 서블릿에 전달 서블릿은 컨트롤러가 전송한 뷰명을 뷰리졸버를 통하여 뷰 검색 뷰리졸버는 해당 뷰에게 처리결과를 보낸다 뷰는 처리 결과가 포함된 뷰를 디스패쳐 서블릿에게 전송 디스패쳐 서블릿은 요청한 최송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출력 이 순서를 기억하면서 하면 좀 더 이해가 ..
컨트롤러는 스프링 MVC 설계 패턴 중 하나이며, 사용자가 구현을 하는 부분입니다.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고 모델과 뷰를 반환하는 기능을 가진 메서드입니다. 사용자의 요청 해석 요청에 대한 처리를 서비스 로직 등에 위임 반환된 값으로 모델 생성 뷰를 결정 뷰와 모델 반환 @Controller 로 컨트롤러 임을 선언 @RequestMapping으로 요청 url 패턴 지정 컨트롤러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 ? 자바에서 사용될 때의 어노테이션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여서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즉,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meta data: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선언과 패키지등의 소스코드에 삽입하여 사용, 소스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